본문 바로가기

골프 이야기/골프 레슨_기타

골프 스윙 5가지만 잡으면 굿~샷~!

 

아마추어 골퍼들에게는 천금을 주고서라도 얻고 싶은 선망의 대상 프로골퍼들입니다.

그들처럼 장타를 휘두르고 싶은 욕망을 억누르기가 쉽지 않습니다.

 

국가대표 감독을 지냈던 한연희 골프아카데미 원장 등 프로골퍼들의 조언을 바탕으로 5가지 스윙 체크리스트를 작성했습니다.

기본만 되찾아 놓으면 목표는 물론 초과 달성도 한결 수월해질 것입니다.

 

그립은 구질에 맞췄는가?

 

 

조급한 마음에 클럽부터 휘두르는 골퍼들이 많습니다. 무심코 지나치기 쉽지만 아주 작은 변화에도 구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 그립입니다.

 

중립 그립이 모범정답이라고 하겠지만 그렇다고 해서 스트롱 그립(훅 그립)과 위크 그립(슬라이스 그립)이 잘못됐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자신의 구질을 인정하는 것이 출발점입니다.

10번에 1~2번 똑바로 날아가고 5~6차례 슬라이스가 난다면 슬라이스 골퍼입니다.

 

슬라이스를 완화시켜주는 스트롱 그립은 양손이 중립보다 약간 오른쪽으로 돌아가게 해서 손잡이를 쥐는 것입니다.

 

주의할 점은 그립을 잡은 채로 손을 돌리지 말고 클럽을 그대로 둔 상태에서 손을 돌린 뒤 잡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잡으면 양손의 엄지와 검지 아랫부분이 만나 이루는 'V'자가 자신의 오른쪽 어깨를 향하게 됩니다.

볼에 너무 가까이 서지 않는가?

 

 

많은 골퍼들이 '팔로만 친다'는 이야기를 들을 것입니다. 상체를 회전시키지 못한다는 말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볼과의 거리가 너무 가까운 것이 근본적인 이유입니다.

 

백스윙 때는 자연스럽게 아래로 늘어뜨려진 양팔이 척추 회전에 따라 움직여야 하지만 너무 가까이 서면 상체가 충분히 숙여지지 않으면서 양팔이 이동할 공간이 없어지게 됩니다.

 

어깨가 '회전'하지 못하고 '상하' 운동을 하면서 팔만 들었다 내리는 가파른 스윙이 되고 맙니다.

 

다운스윙에서도 팔이 내려올 통로가 없는 탓에 밖에서 안으로 잘라 치는 샷이 나옵니다.

 

이는 탄도가 낮고 오른쪽으로 휘어지는 구질의 원인이 됩니다. 좀 멀다 싶을 정도로 떨어져 서면 몸통 회전이 훨씬 원활해집니다.

 

템포가 너무 느리지 않은가?

 

 

템포는 스윙의 리듬감을 말합니다.

 

'너무 느린 스윙이란 없다'는 골프 금언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 말은 벼락같이 클럽을 들어 올리는 습관을 고치기 위해 동원되는 조언입니다.

 

백스윙의 속도가 너무 빠르면 클럽 헤드가 다운스윙 때 직각으로 되돌아올 시간을 확보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너무 느린 백스윙도 거리와 정확성을 희생시킵니다. 많은 아마추어들이 동작에 너무 집착해 스윙을 너무 느리게 함으로써 리듬을 타지 못합니다.

 

골프매거진 최신호에 따르면 샷 거리를 늘려주는 백스윙과 다운스윙 시간의 황금비율은 3대 1입니다.

좋은 템포를 갖추고 똑같은 리듬을 모든 클럽으로 계속 반복하는 템포 트레이닝이 필요합니다.

볼이 놓였던 자리를 볼 수 있는가?

 

 

'볼을 끝까지 보라'는 말은 잊자.

 

그보다는 '볼이 놓였던 자리를 보겠다'는 다짐을 하는 게 낫습니다.

'볼'이라는 말에 집중하면 날아가는 볼을 보기 위해 임팩트 때 고개를 들기 쉽습니다.

 

3초 이상 피니쉬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가?

 

 

피니쉬 역시 스윙의 한 단계입니다.

 

모든 과정과 마찬가지로 폴로스루와 피니쉬도 임팩트를 향해 맞춰져 있습니다.

피니쉬는 이전의 스윙 궤도와 타이밍, 체중이동 등이 어떠했는지를 보여주는 '지도' 역할을 합니다.

 

3초 정도 피니쉬 자세를 유지하는 데에 초점을 맞춥니다. 그렇지 못한다면 과도한 힘을 썼거나 잘못된 스윙궤도로 휘둘렀다는 증거입니다.

 

길고 높게 하는 폴로스루와 피니쉬는 테이크어웨이부터 클럽 헤드가 바깥에서 안쪽으로, 다운스윙 때 안에서 바깥으로,

임팩트 구간을 지난 뒤 다시 타깃 라인 안쪽으로 움직이면서 크고 둥근 원호를 자연스럽게 마무리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